공부/TIL

[모두의 네트워크] 9장 (무선 랜 이해하기)

2023. 7. 6. 00:26
목차
  1. Chapter 9. 무선 랜 이해하기
  2. 35. 무선 랜의 구조
  3. 36. SSID의 구조

Chapter 9. 무선 랜 이해하기

목표
- 무선 랜의 연결 및 통신 구조를 이해한다.
-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클라이언트의 관계를 이해한다.
- 무선 랜의 연결 형태를 이해한다.
- 무선 랜의 규격을 이해한다.
- 채널을 이해한다.

35. 무선 랜의 구조

1. 무선 랜

- 랜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눈에 보이지 않는 전파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컴퓨터를 서로 연결하는 것

장점 단점
케이블 정리가 필요 없음 유선보다 속도가 불안정하고 전파가 약하면 연결이 잘 안됨
유선 랜보다 공간의 제한이 덜함 유선 랜에 비해 통신 내용이 해킹될 위험이 높음

-> 암호화나 인증 설정 필요

 

2. 무선 액세스 포인트 Wireless Access Point = WAP

- 무선 랜 칩chip 필요

    - 최근 컴퓨터는 대부분 무선 랜 칩 내장

- 무선 랜 어댑터adapter 필요

    - USB 메모리 방식

    - 컴퓨터 카드 방식

- 무선 공유기에 해당 기능 포함

 

3. 무선 클라이언트

-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

 

4. 무선 랜 연결 방식

- 인프라스트럭처 infrastructure 방식

    - 무선 공유기(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중심으로 기기들이 접속하는 방식

- 애드혹 Ad Hoc 방식

    - 무선 클라이언트끼리 직접 통신하는 방식

 

5. 무선 랜 규격

- 무선 랜은 IEEE802.11 규격 준수하는 기기로 구성되어 있음

    - IEE802.11 : 미국 기술 표준화 단체(IEEE)에서 승인한 무선 랜의 표준화 기술

무선 랜 규격 통신 속도(최대) 주파수 대역 특징
IEEE802.11ad 6.7Gbps 60GHz 초고속 통신
IEEE802.11ac 6.9Gbps 5GHz - 장애물이 많아도 고속 통신 가능
- 전파 간섭 적음
IEEE802.11n 300Mbps 2.4GHz 대역 - 장애물에 강함
- 전파 간섭 쉬움
    5GHz 대역 - 장애물에 약함
- 전파 간섭 적음
IEEE802.11a 54Mbps 5GHz 대역 - 장애물에 약함
- 전파 간섭 적음
IEEE802.11g 54Mbps 2.4GHz 대역 - 장애물에 강함
- 전파 간섭 쉬움
IEEE802.11b 11Mbps 2.4GHz 대역 - 장애물에 강함
- 전파 간섭 쉬움

- (2020 기준) 주로 "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IEEE 802.11n” “IEEE 802.11ac”의 5종류 사용 (출처)

- 무선 클라이언트도 해당 규격 지원 필요

 

36. SSID의 구조

1. SSID

- 액세스 포인트의 고유 이름

-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클라이언트 연결 시, 혼선을 피하기 위해 SSID 사용

- 네트워크 이름, 인증, 암호화, 암호화 키 설정 필요 -> 무선 클라이언트가 자동으로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 가능

 

2. 비컨 beacon

- 본인을 알리는 신호

-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기기에 주기적으로 전송됨

 

3.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클라이언트의 연결

 

4. 채널

- 여러 기기를 동시에 연결할 수 있도록 주파수 대역을 분할

- 이때 주파수 대역 = 채널

- 전파가 겹칠 시, 채널은 서로 다른 채널로 설정해야 함

- 채널 설정

    - 무선 액세스 포인트 : default가 자동 -> 알아서 최적의 채널을 찾아줌

 

5. 전파 간섭

- 전파가 겹치는데 채널도 같으면 전파 간섭 발생

- 통신 속도가 떨어질 수 있음

-> 채널이 같고, 전파가 겹치지 않게 하려면 물리적인 거리를 떨어뜨려 설치해야 함

 

 

'공부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js] Socket.io를 이용한 TCP/IP chat program 구현  (0) 2023.07.15
[Node.js] net을 이용하여 간단한 TCP/IP chat program 만들기  (0) 2023.07.15
[Tistory 스킨 편집] hELLO 스킨 적용 시 첫번째 카테고리들만 펼치기  (0) 2023.07.05
[vue.js + electron] electron:serve에서는 보이던 화면이 electron:build하면 안보일 때 해결 방법  (0) 2023.07.03
[모두의 네트워크] 6장 - 8장(전송 계층, 응용 계층, 네트워크의 전체 흐름)  (0) 2023.07.01
  1. Chapter 9. 무선 랜 이해하기
  2. 35. 무선 랜의 구조
  3. 36. SSID의 구조
'공부/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 [Node.js] Socket.io를 이용한 TCP/IP chat program 구현
  • [Node.js] net을 이용하여 간단한 TCP/IP chat program 만들기
  • [Tistory 스킨 편집] hELLO 스킨 적용 시 첫번째 카테고리들만 펼치기
  • [vue.js + electron] electron:serve에서는 보이던 화면이 electron:build하면 안보일 때 해결 방법
Ail_
Ail_
logAil_ 님의 블로그입니다.
Ail_
log
Ail_
  • 분류 전체보기 (182)
    • 사설 (11)
      • 강연 (5)
      • * (3)
      • 회고 (3)
    • 공부 (161)
      • Just do it (3)
      • TIL (66)
      • Game Bootcamp (31)
      • Digital Twin Bootcamp (39)
    • 노션 (3)
    • 프로젝트 (23)
      • Game Bootcamp (1)
      • Digital Twin Bootcamp (21)
      • 경기청년 갭이어 (1)

인기 글

최근 글

태그

  • 티스토리챌린지
  • 인터랙티브 웹 UX·UI
  • 플레이어
  • 오블완
  • 대시
  • TypeScript
  • 개발일지
  • 피격
  • 템플릿
  • SQL첫걸음
  • 유니티
  • node.js
  • 유니티 게임 개발
  • 이펙트
  • 한입 크기로 잘라 먹는 타입스크립트
  • 데이터베이스
  • 개발회고
  • 배포
  • 공격
  • Do it! 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입문 : 파이썬 편
  • 부트캠프
  • SQL 첫걸음
  • Chat
  • unity
  • mysql 설치
  • C#
  • 노션
  • 멋쟁이사자처럼
  • notion
  • 회고

최근 댓글

전체
오늘
어제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Ail_
[모두의 네트워크] 9장 (무선 랜 이해하기)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