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환경을 도커로 띄우다보니 로컬에서 많이 느려져서 프로젝트 폴더를 통째로 wsl2 경로로 옮겨주었다.
그런데 그 후 ESLint 적용이 되질 않았다.
해결법은 간단하다.
VCS settings.json 파일의 eslint.workingDirectories에 해당 프로젝트의 경로를 넣어주면 된다.
이는 wsl2로 네트환경을 바꾼 상태에서도 마찬가지로 보인다.
settings.json을 여는 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F1을 누르고 뜨는 검색란에 settings.json을 치면 된다.
혹은 ctrl + , 하여 열리는 검색란에 동일하게 쳐도 된다.
아래처럼 추가해주니 잘 작동한다.
"eslint.workingDirectories": [
"//wsl$/Ubuntu/home/프로젝트폴더"
],
참고
https://til-devsong.tistory.com/106
[VSC] ESLint 라이브러리가 작동하지 않는 에러
요약 발생 에러 Error: Failed to load plugin 'react' declared in '프로젝트 디렉토리 경로\.eslintrc.json': Cannot find module 'eslint-plugin-react'... 해결방법 ESLint가 작동하는 프로젝트 디렉토리를 E..
til-devsong.tistory.com
'공부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Visual Code Studio 우클릭 바로가기 추가 (0) | 2022.06.23 |
---|---|
[TIL] wsl2 VMMEM cpu 점유율 100% 해결 (0) | 2022.06.21 |
[TIL] Windows 탐색기에서 wsl2 리눅스 네트워크 접근 시 권한 오류 (0) | 2022.06.17 |
[TIL] 콘솔에서 exe 응용 프로그램 실행 (0) | 2022.06.17 |
[TIL] Docker 관련 오류 해결 (0) | 2022.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