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글을 보고 따라서 쿠버네티스 EFK 스택을 구성하다가 다음과 같은 오류가 났다. $ kubectl apply -f fluentd.yaml serviceaccount/fluentd unchanged [resource mapping not found for name: "fluentd" namespace: "kube-system" from "fluentd.yaml": no matches for kind "ClusterRole" in version "rbac.authorization.k8s.io/v1beta1" ensure CRDs are installed first, resource mapping not found for name: "fluentd" namespace: "" from "fluentd.ya..
firewalld를 실행하기 위해 systemctl start firewalld 명령어를 쳤더니, 다음과 같은 에러 메세지가 떴다. System has not been booted with systemd as init system (PID 1). Can't operate. Failed to connect to bus: Host is down 근본적인 발생 원인은 wsl에서 Systemd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럴 땐 스크립트 파일을 이용하여 실행하면 된다. 해당 파일은 다음 명령어로 확인 가능하다. $ ls /etc/init.d/ 확인해보면 아래처럼 존재하는 스크립트 파일 목록이 뜨는데, 실행하고 싶은 스크립트 파일명을 확인할 수 있다. 나는 firewalld를 실행하고 싶었기에 아래와 같이..
ELK, EFK란? Kubernetes에서 사라진 pod가 남긴 로그 포함 전반적인 로그 관리법 ELK Elasticsearch + Logstash + Kibana logstash - 자체 로그 수집 기능 X - 모놀리식한 시스템의 로깅 파이프라인에 적합 - UI : Kibana와 완전히 통합되어 있음 - ELK에서 주로 Kafka 사용 더보기 이유 : 20개의 Fixed-Size Event를 제한된 On-Memory queue에 담기 때문에, 재시작시 지속성을 위해 External queue의 의존도를 높힌다. 이는 LogStash의 잘 알려진 문제로 Redis나 Kafka를 버퍼로 사용함으로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pipeline : 데이터를 어디서 수집할 지, 어디로 저장할 지 설정 - fi..
Eslint에 다음과 같이 언어 설정을 하는데 오류가 났다. 해결 방법 : 아래와 같이 배열로 넣어주면 된다. "eslint.validate": [ "vue", "javascript", "javascriptreact", "typescript", "typescriptreact", "html", ], 출처 https://torbjorn.tistory.com/621
VSC 설치 시 옵션*을 빼먹어서 우클릭 시 바로가기가 없을 때 추가하는 법 TXT 파일 생성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 Open files [HKEY_CLASSES_ROOT\*\shell\Open with VS Code] @="Edit with VS Code" "Icon"="C:\\...경로\\Microsoft VS Code\\Code.exe,0" [HKEY_CLASSES_ROOT\*\shell\Open with VS Code\command] @="\"C:\\...경로\\Microsoft VS Code\\Code.exe\" \"%1\"" ; This will make it appear when you right click ON a folder ; The "Ic..
C:\Users\[userName]\.wslconfig 파일 추가 후 아래 코드 추가 [wsl2] guiApplications=false 그 후 재부팅하면 점유율이 확실히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 https://www.tecklyfe.com/fix-vmmem-high-cpu-usage-in-windows/ Fix VMMem High CPU Usage in Windows - TeckLyfe If you're noticing VMMem high CPU usage in Windows 10 or Windows 11, it is related to the Windows Subsystem for Linux (WSL and WSL2). More recently, it seems www.tecklyfe.co..
개발 환경을 도커로 띄우다보니 로컬에서 많이 느려져서 프로젝트 폴더를 통째로 wsl2 경로로 옮겨주었다. 그런데 그 후 ESLint 적용이 되질 않았다. 해결법은 간단하다. VCS settings.json 파일의 eslint.workingDirectories에 해당 프로젝트의 경로를 넣어주면 된다. 이는 wsl2로 네트환경을 바꾼 상태에서도 마찬가지로 보인다. settings.json을 여는 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F1을 누르고 뜨는 검색란에 settings.json을 치면 된다. 혹은 ctrl + , 하여 열리는 검색란에 동일하게 쳐도 된다. 아래처럼 추가해주니 잘 작동한다. "eslint.workingDirectories": [ "//wsl$/Ubuntu/home/프로젝트폴더" ], 참고 https..
네트워크로 들어간 경로에 파일을 생성하려고 하니 권한 에러가 떴다. 대략 권한이 없다는 내용으로 아래와 비슷했다. wsl에 액세스 할 수 없습니다. 이 네트워크 리소스를 사용할 권한이 없는 것 같습니다. !주의! 이 과정 시 root 계정에 비밀번호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권한이 꼬여 다시 설치해야할 수 있기 때문에 꼭 root 계정 비밀번호 설정을 먼저 하자.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할 수 있다. sudo passwd root 만약 비밀번호 설정을 안하고 권한을 만졌다면 백업하고 우분투를 재설치 하면 된다. 해결 방법은 폴더에 대한 권한을 주면 된다. 나는 home 폴더에 대한 모든 권한을 줬다. $ sudo chmod -R 권한 폴더명 $ sudo chmod -R 777 home 참고 https://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