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호기 설명
- 기기에 24V와 12V가 같이 연결되어 있는 이유 : 센서는 24V, 모터는 12V를 사용하기 때문
- PLC에는 센서가 신호를 -로 내보내는 방식(NPN)이 있고 +로 내보내는 방식(PNP)이 있다.
주로 NPN (-로 내보냄)을 많이 쓴다.
P09가 센서랑 연결되어 있다.(-신호가 들어감)
2호기 설명
광센서
반사형 : 넓은 범위 ex) 자동문
투과형 : 더 먼 거리, 높은 위치 정확도 ex) 보안 게이트 마치 영화 속에 나오는 도난 물품 방지 레이저들처럼...
3호기 설명
1축 : 상한센서, 원점센서
2축 : 원점센서
비전이 안들어가는 공장이 매우 적기 때문에 앞으로 비전의 중요성은 더 커질 것이다.
3호기 1축 모터 제어
XGPM에서 제어한다.
백업 파일 위치
C:\XG5000\UVC_smart_factory
간접 기동
100번에 원하는 위치, 속도 등 입력
드웰시간 : 명령어 실행하고 동작이 끝나면 4000ms 기다렸다가 완료 보고(다음 동작을 4초 후 진행)
온라인-쓰기
명령 도구의 스탭에 100번 입력하고 실행
모터의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테스트할 때 이런 식으로 명령도구를 많이 사용)
운전방식
단독, 종료 : 단독 실행하고 바로 종료
단독, 계속 : 단독 실행하고 다음 스탭 실행
드웰시간
운전 파라미터
가속시간 : 정속구간까지 속도가 올라가는데 걸리는 시간
감속시간 : 정속구간에서 속도가 내려가는데 걸리는 시간
직접 기동
보조 프로그램 만들기
이제 XG5000을 킨다.
F10으로 END 추가(여기서 끝)
간접기동 명령어 추가
조건에 따라 입력
기존 비상정지 버튼을 상시ON으로 변경(F99)
실행하면 비상정비 버튼을 누르면 모터가 XMP에서 설정한 값대로 움직인다.
=> 정밀제어를 해봤다.
디바이스 모니터
비상정지버튼이 P0F라 누르면 값이 0과 1을 왔다갔다 하는걸 확인할 수 있다
네트워크(통신)
기계에서 데이터를 불러오는 통신 방법으로는 모드버스 서버를 많이 사용한다. 제일 편한 건 XGT 서버가 제일 편하다.
메모리 제어
상시 ON 버튼을 통해 값을 계속 바꿔준다.(수동으로 바꾸려고 해도 불가 -> 자동으로 계속 바꿔주고 있기 때문)
더블워드의 경우 두 칸이 묶여있다.
래치 영역
원래 K메모리가 전원이 꺼져도 기억하고 있는 역할을 하는데 래치 영억에서 D메모리도 전원 꺼져도 기억할 수 있게 만들 수 있다.
프로그래밍 순서
변수 설정(이름 정하기)
기본 파라미터 = 래치 영역 정하기
모터 1축 속도 높여보기
XGPM에서 높일 수 있다.
변경한 수치
1축 속도는 냅다 20,000으로 통일해봤다.(원래는 최고 속도로 안하는 게 좋다.)
목표 위치도 하강 후 위치(두번째 값들)를 덜 내려가게 하고, 가속/감속 번호도 4번 대신 1,2번 사용하면 더 빨라질 수 있다.
2축 같은 경우엔 이미 최고 속도였기 때문에 위치를 건드렸다. 위치를 덜 움직이게 했더니 2축이 원점으로 돌아가고 1축이 움직이기까지의 시간이 남아서 1축의 드웰시간(2축을 기다리는 시간)도 줄일 수 있었다.
XP 빌더 다운
LS ELECTRIC
스마트 에너지의 미래를 열어가는 LS ELECTRIC
www.ls-electric.com
방법 설명
설치는 그냥 아무것도 안건드리고 계속 다음하여 설치했다.
XP-Builder 실행
새 프로젝트 만들기
모델 설정 : eXP40-TTA는 이더넷이 가능하고 eXP40-TTE는 이더넷이 불가능(LAN 0 Port)
연결 제어기 선택 - 통신기기 설정
TTE.hmi 파일 열기
\Desktop\IOT\EDU KIT V2 PLC 관련소프트웨어\hmi
해당 항목을 더블클릭하면 정보를 볼 수 있다.
기본 화면 삽입
화면이 안보일 땐 보기에서 추가하면 된다.
비트 램프 추가
만든 화면으로 이동하는 버튼 만들기
도구상자 - 화면 전환 스위치
문자, 표시 등 설정
각각 해당하는 프로그램이 따로 있다
HMI - XP-Builder
PLC - XG5000
위치 제어 - XGPM
드라이브 - CM드라이브라고 있음
느낀 점
전선 연결 따로, 위치 제어 따로 등등 전문 분야가 되게 세분화 되어 있는 것 같다.
예전에 인쇄 기계 볼 때도 잉크량 등 제어 화면을 보면서 저런 화면은 어떻게 만드는 건지 궁금했었는데 이런 식으로 만드는 것 같다.
화면 추가도 그렇고 버튼 추가도 그렇고 생각보다 직관적이라 좋았다.
'공부 > Digital Twin Bootcamp'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_220120_IOT (0) | 2022.01.20 |
---|---|
TIL_220119_IOT (0) | 2022.01.19 |
TIL_220117_IOT (0) | 2022.01.17 |
TIL_220114_IOT (0) | 2022.01.14 |
TIL_220112_IOT (0) | 2022.01.12 |